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9?1132319357.jpg)
비교적 낮은 해발의 게르무 지역 (해발 1300M)
푸른 녹음이 우거진 지역은 걷고 생각하기 좋습니다.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6?1132319357.jpg)
부디스 룽다. 그리고 히말 (차메2670M)
마을. 펄럭이는 룽다가 자주 보일수록 설산과 가까워집니다.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5?1132319357.jpg)
쏘롱패디-하이캠프 (4450M-)
목소리 보다 숨소리가 커지는 곳이기도 합니다.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2?1132319357.jpg)
쏘롱-라 의 아침 (5416M)
뒤늦게 고소가 와서 구토를 하며 겨우 넘었습니다.
히말 8천미터급 14좌를 등반하는 산악인들이 존경스러웠습니다.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4?1132319357.jpg)
묵티나트-무스탕 (3800M)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1?1132319357.jpg)
묵티나트-무스탕 (3800M)
자연의 모습이 아닌, 잘 꾸며진 거대한 실내 세트장에 선 기분 이었습니다.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0?1132319357.jpg)
무스탕 카그베니 (2800M) 를 지나며..
삼천미터를 넘으며 느꼈던 히말의 황량함은
이곳 무스탕지역 카그베니를 지나며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.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7?1132319357.jpg)
무스탕 카그베니 (2800M)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8?1132319357.jpg)
때아닌 폭설로 사흘을 지채하기도 했습니다. (좀솜 2710M)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10?1132319357.jpg)
좀솜-칼로파니 일정중 들린 마을 어디쯤 입니다.
![](http://kr.img.blog.yahoo.com/ybi/1/46/15/hidra94/folder/3488173/img_3488173_1462766_3?1132319357.jpg)
안나푸르나로 잘못알았던 생선꼬리란 뜻의 마차푸치레 입니다.
여행도중 인간에 야박하기만한 산이 싫기도 했습니다만
이렇게 사진을 보고 있노라니 떠나온 그 곳이 그리워집니다.
거대한 자연 앞에서 나약한 인간으로 초라해지고 또 초연해질수 있는 여정이었습니다.
![사랑보태기 마음나누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460x0/?fname=https%3A%2F%2Ft1.daumcdn.net%2Fplanet%2Ffs13%2F32_6_10_18_5Ssea_10803862_0_6.gif%3Fthumb&filename=6.gif)
출처 : 사랑보태기 마음나누기
글쓴이 : 햇살미소 원글보기
메모 :